개발자 도구 F12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DtZk/btsgYBc2T1M/i0fKA6a94Flw8k4U8p56kk/img.png)
사이트에서 F12버튼을 누르면 개발자도구가 열린다.
개발자도구에는 여러 개의 기능들이 탭으로 묶여있으며
난 주로 요소, 콘솔, 소스, 네트워크 탭을 보며 작업한다.
오늘은 네트워크 탭의 사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다.
기능 소개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MidV/btsg1dvIhfp/x1Z8ZqaXQaCKSFHfVmuXS0/img.png)
네트워크 탭을 클릭하게 되면 탭 바로 아래에 다음과 같은 하위 탭이 뜬다.
도구명 | 기능 |
빨간점 / 차단마크 | 주고받는 모든 NETWORK 요소를 기록한다. / 기록하지 않는다. |
필터 / 돋보기 | 필터링 및 검색 |
로그 보존 (Preserve log) | 페이지를 이동해도 로그가 사라지지 않는다. |
캐시 사용 중지 (Disable cache) | 브라우저의 캐시를 비활성화 한다. |
제한 없음 (No throttling) | Fast 3G, Slow 3G, Offline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프로그램을 테스트해보는 기능 |
FILTER / SEARCH 기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zPhm/btsgYjQXC36/LmIE7SyIhBpTFK7lZilQA0/img.png)
네트워크 소스를 타입별로 보는데 사용하는 기능이다.
Method: GET 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검색해 위 사진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.
- domain
- has-response-header
- is
- larger-than
- method
- mime-type
- scheme
- set-cookie-name
- set-cookie-value
- set-cookie-domain
- status-code
Method 뿐만 아니라 위 목록과 같이 키워드를 사용해 원하는 소스를 필터링해서 볼 수 있다.
데이터 확인 기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Nqqy/btsg1dWKU6u/mhpcBdkKIUDxBXhFaDhJC1/img.png)
헤더(Headers)탭에서는 URL, Method, Status Code등의 정보와 Response, Request Header 및 서버로 송신한 내용들을 볼 수 있다.
Client 화면 개발 시 서버와 데이터가 잘 맞지 않을 때, 헤더탭을 통해 서버로 보낸 최종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.
페이로드(Preview) 탭은 서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parsing 해서 보여주고, 응답(Reponse) 탭은 그대로 보여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w0HV/btsg1szzWJE/SqEGWsMEMaBGGxxHa2hNv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35cP/btsg4hqwUBq/oh077LQng4lhzBwQXLFKLK/img.png)
데이터를 확인하기에는 페이로드 탭이,
데이터를 재활용해야 하는 경우나,
서버오류로 xml, json 데이터가 넘어오지 않은 경우에는 응답 탭이 유용하게 사용된다.
참고 블로그
개발자도구 Network탭 총정리
네트워크 탭 개요 개발자도구의 네트워크 탭은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편리하게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. 각 소스들을 불러올 때 속도, 응답 등 네트워크 측면에서 확
velog.io
[Google Chrome] Nework 탭 살펴보기
PC Web을 개발하던, Mobile Web을 개발하던 반드시 Network로 서버와 인터페이스 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업무가 발생한다. 이때 편리한 Debugging을 할 수 있는 Chrome 개발자 도구의 [Network] 탭을 살펴보
redballs.tistory.com